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백신 부작용 최신 정리

by *&&* 2021. 6. 28.

우리나라에서 아스트라제네카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백신을 맞은 후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진단을 받고 사망한 사례가 처음으로 확인되면서 백신 부작용 우려가 들려옵니다. 따라서 바이러스 벡터 백신인 AZ와 얀센 백신의 접종 연령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백신 부작용 지금 알아보겠습니다.

 

 

 

 

백신 부작용

백신 부작용

코로나19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16일 잔여 백신 예약을 통해 AZ 백신을 접종한 30대 초반 남성이 TTS 판정을 받은 후 사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남성은 평소 앓던 기저질환은 없었다고 합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생한 백신 접종 부작용에 의한 사망 사례입니다. 유럽의약품청과 우리나라는 TTS를 AZ 백신의 이상 반응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백신 부작용

일반 혈전증과 달리 혈소판 감소를 동반한 뇌정맥동혈전증, 내장정맥혈전증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방 접종 후 4일에서 28일 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 혈전증은 혈액 흐름이 정체돼 생기지만 TTS는 백신과 연관된 자가면역 질환으로 추정됩니다.

백신 부작용

백신 접종으로 인한 자세한 발생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EMA는 지난 4월 TTS를 AZ 백신의 희귀 부작용 사례로 분류했으나 백신 접종으로 인한 이득이 부작용 발생 위험보다 크다며 접종을 권고했습니다.

 

AZ 백신 연령 기준은 나라마다 다르입니다. 영국은 30세 미만은 다른 백신을 권고했고 프랑스는 55세 미만은 사용 중단했습니다. 스페인의 경우 60~64세에만 접종을 허용합니다. TTS로 인한 첫 사망 사례가 발생하며 우리나라에서도 AZ와 얀센 백신의 접종 연령을 더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백신 부작용

서울대의대 의료관리학 교수는 “우리나라는 AZ와 얀센 외에 화이자, 모더나, 노바백스 등 백신을 이미 확보한 만큼 40대 이하에게는 다른 백신을 접종하도록 하고 AZ와 얀센은 50대 이상이 맞을 수 있도록 접종 연령을 조정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백신 부작용

AZ와 얀센 백신은 바이러스 전달체를 이용한 백신으로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대 등이 참여한 연구진은 최근 이러한 종류의 백신을 접종한 사람 가운데 극히 일부에서 돌연변이 단백질 조각이 만들어져 혈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혈전증 위험 여성

결론적으로 '여자가 얀센 백신 부작용 더 심하다'는 주장은 대체로 사실입니다.

다만 이러한 내용은 '여자에게 더 심한 정도의 부작용이 나타난다'는 뜻이 아닌 '흔치 않지만 혈전 등의 중증 반응이 여성에게 발생할 확률이 더 높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확인 결과 이러한 내용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연구에 따른 것입니다. 미국에서는 올해 4월 23일까지 얀센 백신을 약 800만회 이상 투여했습니다.

백신 부작용

백신 접종 후 7일 이내에 발생하는 부작용은 흔하게 나타났지만 대부분 경미한 증상들이었습니다. 다만 우리나라에서 보고된 TTS 사례는 아직 남성 사례만 있습니다. 방역 당국이 현재까지 파악한 2건의 사례 모두 30대 남성이었습니다. 특히나 그 중에서도 50세 미만의 여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났는데, 연구진은 '50세 이상의 여성 및 모든 연령의 남성'과 비교했을 때 젊은 여성에게서 더 흔한 빈도로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우리나라의 전문가로 이뤄진 자문단은 코로나19 확진자가 하루에 600명씩 나오고 백신 효과가 6개월간 지속한다고 가정할 경우 30대 이상에서도 백신 접종 이득이 혈전 부작용 위험을 상회한다고 평가한 바 있습니다.

백신 부작용

그러나 접종자에게 TTS 의심증상이 있다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추진단에 따르면 접종 후 4주 내 호흡곤란, 흉통, 복부 통증 지속, 다리 부기 등이 나타나면 TTS를 의심할 수 있고 접종 후 두통이 이틀 이상 이어지거나 진통제로도 조절되지 않을 경우, 시야가 흐려지거나 갑자기 기운이 떨어지는 경우, 접종 부위가 아닌 곳에 멍이나 출혈이 생긴 경우도 병원을 찾아 의사에게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댓글